직물세이벳이너(텍스타일세이벳이너)는 주로 의류회사, 섬유회사, 개인의상실 등으로 진출하며 자신이 직접 의상실을 경영하기도 한다. 채용은 보통 공개채용이나 교육기관 및 교수에 의한 추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고용현황
향후 5년간 직물세이벳이너 및 패션세이벳이너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20여 년간 국내 패션시장은 성장기에 있었으나 이제 저성장 시대로 진입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의류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해외 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크게 늘었다. . 의류 등을 구매하는 형태도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고, 패션 대기업들은 브랜드를 축소하거나 통합을 추구하고 있어 신규 고용이 확대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개별 브랜드를 창업하는 형태로 이동하는 경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중저가 쇼핑몰이 성장하고 해외 진출이 활발한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가격이 저렴하면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얼리, 가방, 속옷 등의 세이벳인 분야에서 수요가 좀 더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대신 섬유산업의 위축 및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 등으로 직물세이벳이너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임금수준
직물세이벳이너(텍스타일세이벳이너)의 평균연봉(중위값)은 3,348만원 수준에 형성되어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20년 기준)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직물세이벳이너(텍스타일세이벳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의상세이벳인학, 패션세이벳인과, 의류학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는 복식사, 의복재료론, 의상심리학, 코디네이션기법 등의 이론과 의상세이벳인에 대한 실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마케팅, 머천다이징과 관련한 교과목이 포함되어 상품으로서의 의상을 팔기위한 전략도 배우게 된다. 사설교육기관에서 패션세이벳인, 의류제작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섬유세이벳인산업기사, 제품세이벳인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가 있다.